1. 성격이론의 추세와 전망 (1) 일반적 추세와 전망 : 내재적 영역 - 인간이 가진 특성들에 초점. 안녕추구, 독특성. 생물학적요인, 인지의 강조 : 외재적 영역 – 상황의 강조, 환경적 요인, 가정적 요인. 문화적 요인. 사회적요인 (2) 정신역동적 관점의 추세와 전망 : 대상관계이론의 적용,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의 적용, 융의 분석심리학적 접근. 신경정신분석학 (3) 성향적 관점의 추세와 전망 : 초특질, Big 5, 아이젠크의 생물학적 유형론 (4) 행동 및 사회 학습 관점의 추세와 전망 : 인지심리학의 패러다임, 실험심리학과 컴퓨터공학, 앨리스와 아론 벡의 인지 치료 (5) 심리학과 빅데이터 : 데이터 분석을 통한 통찰. 행동패턴에 대한 상관관계 추론. 행동변화 정보 통찰. 심리학을 통한 개인 ..
1 앨리스의 주요 개념 : 인간은 이성적 동물, 신념체계. 인지, 정서, 행동치료. 일체유심조 : 신념체계가 우리의 감정이나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과 합리적 이성이 중용하다는 가정 하에 인지, 정서, 행동 치료를 발전시킴 (1) 성격의 생리적 측면 : 인간 성격의 생물학적 측면 강조. 사용되지 않은 거대한 성장 자원이 인간에게는 있음. 비합리적이며 스스로를 해치는 성향도 인간에게는 있음.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할 때 자신, 타인, 세상을 비난하며 생득적 자기파괴 방식으로 행동. (2) 성격의 사회적 측면 : 인간은 사회적 동물. 정서장애는 타인들이 생각하는 것에 대해 지나치게 많은 염려. 타인의 승인과 인정은 불안과 우울의 원인. (3) 성격의 심리학적 측면 : 정서적 혼란이 비합리적인 신념에..
1. 로저스(1902~1987)의 생애와 인간 중심 접근 특징 (1) 로저스 생애 요약 : 미국 일리아노 주에서 근본주의 기독교 신자 부모에게서 6명의 자녀 중 네 번째로 태어남. : 부모는 도덕적 행동, 정서표현의 억제, 열심히 일하는 것을 미덕으로 강조. 부모는 애정적인 표현 안 함 : 형제 2명과 마찬가지로 15세 때 위궤양을 앓음. ( 개방적 표현을 허락하지 않은 집안 분위기 영향 추정) : 진로의 변경 - 처음에는 생물학, 농업에 관심 => 신학전공 => 심리학과 대학원 : 아동생활 클리닉에서 정서적 장애를 가진 비행 청소년 카운슬링 : 행동주의 심리학에 대항 (2) 인간 중심 접근 특징 : 내담자 중심 치료. 비지시적 접근. 개인의 주관적 경험의 강조. => "개인은 자신에 대한 최고 전문가이..
1. 아이젠크(1916~1997) 생애 : 독일 베를린에서 태어나 1934년 영국으로 이주. 런던대학에서 물리학을 전공하고 싶었으나 필수과목을 이수하지 못해 못함. 대신 대학 담당자가 전공할 수 있는 과목은 심리학밖에 없다고 하여 심리학을 수강. 그때까지 심리학이 무엇인지 몰랐기에 담당자에게 심리학이 무엇인지 물었다고 한다. 그때 담당자가 '아마 마음에 들 거요'라고 했다는 일화가 있다. 이후 40년 동안 74권이 넘는 저서와 700편이 넘는 논문을 발표하였고 성격평가 도구들을 개발하였다. 그는 성격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으로 유전을 강조하였다. 2. 역사적 배경과 생물학적 유형론 (1) 히포크라테스와 갈렌(갈레노스) : 최초의 성향 관점. 우울(흑담즙질), 다혈질, 점액질, 담즙질, 유형론VS특질. (..
1. 올포트 생애 : 고든 윌러드 올포트(1897~ 1967)는 미국의 사회심리학자. 그는 인간의 행동은 효과의 법칙으로는 설명할 수 없으며, 의도에 대해서는 고찰하는 것만이 인간행동에 관한 이해를 깊게 한다고 주장하였다. 올포트는 성격 연구에 초점을 맞춘 최초의 심리학자 중 한 명으로 종종 성격 심리학의 창시자 중 한 명으로 불린다. 그는 가치 척도(values scales)의 형성에 기여했으며 종종 너무 깊이 해석적이라고 생각했던 성격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접근 방식과 이러한 데이터에서 그리고 충분히 깊은 해석을 제공하지 못하는 행동적 접근 방식을 모두 거부하려 했다. 이러한 대중적인 접근 방식 대신 그는 특성에 기반한 절충 이론을 개발했다. 그는 개성을 이해하기 위해 개인의 과거 연대기적 역사와는 달..
1. 설리반의 생애 : 미국 뉴욕주 노르위츠에서 농부의 아들로 출생(1892). 아버지는 정서적으로 고립되고 말이 없는 사람으로 설비번과 가까운 관계를 맺지 못함. 어머니는 우울증을 겪었던 것으로 추정. (어머니의 불안이 아이에게 전달된다는 제안이 자전적일 것이라고 여겨짐). 8살 때 13살의 베링거와 깊은 우정을 나눔. (베링거도 정신과의사가 되었고 둘은 동성애 관계로 추정, 청소년기 대인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함-자전적-) : 정신의학 영역의 정신적 아버지라고 할 수 있는 화이트의 영향을 받음 : 평생을 독신으로 지냄. 2. 주요 개념 (1) 성격의 본질 : 성격은 인간의 삶을 특징짓는 되풀이되는 대인관계 상황의 비교적 지속적인 패턴이다. : 성격은 개인이 대인관계에서 다른 사람들을 다루는 특징적 방식으..
1. 주요 키워드 (1) 에릭슨은 전생애에 걸쳐 성격이 발달한다고 보았다. (프로이트 이론을 확장) (2) 자아정체감이라는 용어는 에릭슨의 대명사 (3) 심리사회적인 측면을 강조하였고 평생에 걸쳐 여덟 단계를 통해 발달한다고 보았다. (4) 자아심리학의 아버지 : 원초아보다 자아를 강조 2. 에릭슨의 생애 : 덴마크인 부모, 어머니가 이혼 후 재혼, 유태인 계부의 성을 사용하다가 에릭슨으로 개명 하였다. 어려서부터 독일인도 아닌 유태인도 아닌 덴마크인도 아닌 정체성의 혼란을 겪었다. 예술가를 꿈꾸다가 안나 프로이트를 우연히 만나 프로이트의 환자들과 프로이트 친구들의 자녀를 작은 학교에서 가르치게 되었고 안나 프로이트에게서 자기 분석을 받았다. 3. 주요 개념 (1) 자아심리학 : 자아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1. 칼 구스타프 융의 생애 - 스위스의 정신분석 학자인 칼 구스타프 융(1975~1961)은 분석심리학의 창시자로 그의 어머니는 우울증을 앓고 있었다. 그래서 그는 어린 시절 내성적인 아이로 자랐다. 바젤대학에서 의학학위를 받은 융은 프로이트의 ‘꿈의 해석’이라는 책을 읽고 그와 교류하였으며 프로이트의 후원으로 국제정신분석학회장이 되었다. 그러나 곧 융은 프로이트와 다른 견해를 내세웠고 ‘무의식의 심리학’이라는 책을 발간한 이후 프로이트와 결별하게 되었다. 그후 융의 이론은 분석심리학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2. 분석심리학과 정신분석의 차이 (1) 리비도의 확장 - 프로이트는 리비도를 인간의 생물학적 정에 국한된 에너지로 보았으나 융은 삶의 에너지를 포함하는 정신에너지로 봄 (2) 프로이트는 인간의 성격..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