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볼 때는 매우 쉽게 느껴졌는데 간단한 문제라도 풀려고 하니 잘 기억이 나지 않았습니다. 문자열, 리스트 관련 연습문제 3개를 공유합니다. 박응용 님의 저서 점프 투 파이썬의 연습문제를 응용하였고 3번 문제는 동일(발췌)합니다. 문제 1. 자동차 번호는 차량의 종류를 앞자리 숫자 3자리와 한글 더하기 일련번호 4자리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예전에는 앞자리 번호가 2자리였다. 앞자리가 3자리인 차와 2자리인 차가 섞여 있을 때 자동차 번호를 앞자리 숫자, 한글, 뒷자리 일련번호 4자리로 구분하여 출력하시오. (1) 힌트 : 슬라이싱과 인덱싱을 사용하고 슬라이싱과 인덱싱에 '-' 를 쓸수 있다는 점을 활용 carNum1 = "10하1234" #앞자리 3자리 carNum2 = "010호1234" #앞자리..
1. 집합 자료형이란? 집합 자료형은 set 함수를 사용하여 집합과 관련된 것들을 쉽게 처리하기 위한 자료형 (1) 집합 자료형 만들기 : set() 함수 안에 리스트나 문자열을 매개 변수로 하여 만든다. s1 = set([1,2,3,4,5]) print(list(s1)) print(tuple(s1)) s2 = set("Hello") print(s2) print(list(s2)) print(tuple(s2)) (2) 집합 자료형의 특징 1.중복을 허용하지 않음 2. 순서가 없다. 근데, 결과를 보면 나름 숫자는 작은 순서대로 정렬되는 것 같다. 하지만 문자는 모르겠다. 실행 시킬때 마다 다른 결과가 나왔다. s2 = set(["H","e","l","l","o"]) print(s2) print(list(s..
1. keys() : 해당 딕셔너리의 Key 리스트 만들기 tDic = {'key1': '값1', 2: 2, 'key3': [3], 'key4': '값4', 'key5': '값5', 13 : [1,3]} 예) tDic.keys() keys() 함수 결과 2. values() : 해당 딕셔너리의 값으로 리스트 만들기 values() 함수 결과 3. items() : key 와 value 를 묶은 튜플 값을 dict_items 로 반환한다. items() 함수 결과 4. clear() 함수 빈 딕셔너리를 반환한다. ===> {} 5. get() 함수 해당하는 key 의 값을 반환하는 함수로 두가지 특징이 있다. (1) 딕셔너리 자료형의 변수명 [] 안에 키값을 사용 값을 가져오는 방법은 get() 함수를 사..
1. Python 튜플 자료형 (1) 튜플 자료형이란? - 리스트와 거의 비슷하지만 형태가 다르다. 리스트는 [] 로 둘러싸지만 튜플은 ()로 둘러싸인 형태다. 하지만, 요소값을 인덱싱, 슬라이싱 할 때는 리스트 자료형과 동일하게 []를 사용한다. - 요소가 1개 일 때 요소 마지막에 콤마(,)를 붙여야 한다. a = (1) print(a) #에러 안남 print(a[0]) #에러 => print(a) 했을 때 1 이 출력돼서 문제가 없나 싶었은데 print(a[0]) 이렇게 요소값을 출력 했을때 에러가 발생했다. - (가장 중요한 특징) 값의 생성, 삭제, 수정이 안된다. a = [1,2] b = (1,2) => a 는 a.insert() , a.append() 사용이 가능하지만 b는 사용할 수 없다...
1. 리스트란? : 리스트는 배열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 단, 파이썬에서는 리스트 안에 특정 자료형의 배열 형식이 아닌 어떠한 자료형이 올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예를 들어 (1) a = [ 1, 2, ‘Love’ ,’is’] 처럼 숫자형과 문자열이 같이 올 수 있다. (2) a = [ 1, 2, [‘Love’ ,’is’] ]처럼 리스트 형 안의 요소로 리스트가 들어갈 수도 있다. 2. 리스트에서의 인덱싱 문자열에서의 인덱싱과 거의 동일하다고 보면 된다. 예를 들어 리스트 a = [ 1, 2, [‘Love’ ,’is’] ]에서 a[0] 은 1이다. a [2]는 , [‘Love’ ,’is’] 이고 2중 리스트의 첫 번째 요소는a [2][0] 으로 인덱싱 할 수 있다. 이는 3중 리스트에서도 마찬가..
1. 문자열 함수 (1) 화면에 출력 print(출력할 대상) (2) 특정 문자 개수 세기 문자열.count(세는문자열) (3) 문자열 찾기 ( find, index 차이 ) : 문자열.find(찾는문자열) 존재하면 존재위치 없으면 -1 리턴 :문자열.index(찾는문자열) 존재하면 존재위치, 없으면 에러 참고로 Java에서는 주로 문자열.indexOf(찾는문자열) 사용하는데 없으면 -1을 리턴한다. 파이썬에서 는 find() 함수와 동일하다. 순서는 0부터 시작한다. (4) 문자열 삽입 ( join 함수 ) : join() ==>> 이게 좀 헷갈리는데... 삽입문자에 함수를 사용하고 문자열이 함수의 매개변수가 된다. 삽입문자.join(대상문자열) (5) 대문자, 소문자로 변경하기 : 대상문자열.uppe..
파이썬이 쉬운 점 중에 하나가 Java처럼 자료형의 타입 또는 오브젝트를 선언할 필요가 없다는 것일 것이다. 자료형 선언은 아래 타 블로거의 포스팅을 참조하면 좋을 듯 하다. [파이썬(Python)] 변수 선언, 자료형 선언 파이썬은 타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을 사용해 변수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a = 100 b = 'HELLO' c = [1,2,3] 변수 이름은 아래 규칙만 지킨다면 원하는 대로 지을 수 있습니다. 영문 문자와 숫자 사용 대 kotory.tistory.com 1. 숫자형 (1) 정수형, 실수형 등을 사용하는 데 특이한 점은 복소수를 사용할 수 있다. - 복소수 : 1 + 2j - 반드시 j를 사용해야 한다. (2) 실수형을 사용 시 소수점의 오차가 있다. => 실수의 오차를 해결하..
무턱대고 파이썬을 공부하자니 파이썬이라는 것이 대체 뭔지... 파이썬의 특징이 뭔지 궁금해졌다. 그래서 나름 책과 웹을 참조하여 간단히 정리해 보고자 했다. 사실 파이썬으로 무엇을 하고자 하는 것이 뚜렷하게 없었다. 난 지금 단지 Cos Pro나 프로그래머스 시험을 파이썬을 이용해서 보고자 한다. 문득 무의미하게 시험을 본다고 공부하는 것보다는 무엇인가 목표를 가지고 하는 게 낫지 않을까 생각이 든다. 그것은 우선 기초적인 공부를 하고 나서 차차 생각해 보고자 한다. [1일차]Python 시작하기. 파이썬 1일 차... 어찌하다 보니 Python을 공부할 일이 생겼다. 사실 예전에 조금 해봤는데. 기억이 나지 않아서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려고 한다. 기왕 하는 거 블로그에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면 좋 pan..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