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초중고 학생이나 그 학부모님들께 좋은 교육 사이트가 있어 소개하려고 합니다. 다름 아니라 올해 우리 집 아이가 초등학교에 입학했는데요. 어제 학교에서 기초학력 진단평가를 받았습니다. 입학한 지 얼마 안 된 거 같은데...ㅎㅎ 다행히 무난한 수준은 되는 듯합니다만...^^ 어쨌든... 기초학력 진단평가 수준의 문제를 보니 옛날의 초등학교 1학년 수준의 문제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었답니다. 요즘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갈 나이만 돼도 학습지도 하고 학원을 다니는 아이들이 꽤 많더군요. 제 주변에도 국, 영, 수에 한자, 논술 등을 학습지로 시키는 가정이 많이 있습니다. 바로 눈높이니 구몬, 엘리하이 이런 것들이지요. 한 과목에 얼마 안 한다고 해도 이것저것 합치면 꽤 되더라고요. 저희 사실..
아침 출근하면서 한쪽 엄지발가락이 시원하면서 허전한 느낌이 들었습니다. 다름 아니라 급하게 출근하다 보니 엄지발가락 쪽에 구멍이 난 양말을 신고 나오 것이지요. 비가 오는 날에 가방에 넣어 놓은 비상 양말도 이미 써버렸는지 없더군요. 뭐 하루쯤 그냥 구멍 난 채로 지내도 되지만... 비상의 방법을 써 봅니다. 다름 아니라 양쪽 양말을 바꾸어 신어 봅니다. 하.. 이런.. 양쪽에 구멍이 나 있군요. ㅋㅋ 차마 구멍뚫린 양말의 발 모습은 찍어 올리지 못하겠군요. 보통 사무실에서는 슬리퍼를 신는데 양말에 구멍이 난 채로 돌아다니기 것은 좀 볼썽사나워 보일 것 같습니다. ㅎㅎ 그렇다고 하루종일 운동화를 신고 있기도 답답할 듯합니다. 그래서 사무실에서 가장 가까운 CU편의점에서 양말을 구매해 보기로 합니다. 다른..
1. 서울에서 갈만 한 곳 (1) 서울숲 공원 서울숲 공원은 아이들과 즐길 거리가 참 많은 것 같습니다. 제가 서울숲 공원 근처에 살아서 자주 가는데. 갈 때마다 계절마다 새로움을 많이 느낍니다. 그리고 하루에 다 돌아다니기도 벅찹니다. 아래 서울 숲 공원에 관련된 포스팅을 링크합니다. ♡♡♡ 서울숲 공원 스케이트 파크에서 인라인스케이트 타기.♡♡♡ [아이와함께]서울숲 공원 스케이트 파크에서 인라인스케이트 타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초등학교 1학년인 저희 아이는 인라인 스케이트를 배우고 있습니다. 그래서 스케이트 파크가 있는 집 인근의 서울숲 공원을 찾았습니다. 출입구에 자전거는 출입금지이고 pandajeytv.tistory.com ♡♡♡서울숲공원 큰 놀이터(숲 속놀이터)♡♡♡ [아이와함께]서울숲공원 큰..
1. 집합 자료형이란? 집합 자료형은 set 함수를 사용하여 집합과 관련된 것들을 쉽게 처리하기 위한 자료형 (1) 집합 자료형 만들기 : set() 함수 안에 리스트나 문자열을 매개 변수로 하여 만든다. s1 = set([1,2,3,4,5]) print(list(s1)) print(tuple(s1)) s2 = set("Hello") print(s2) print(list(s2)) print(tuple(s2)) (2) 집합 자료형의 특징 1.중복을 허용하지 않음 2. 순서가 없다. 근데, 결과를 보면 나름 숫자는 작은 순서대로 정렬되는 것 같다. 하지만 문자는 모르겠다. 실행 시킬때 마다 다른 결과가 나왔다. s2 = set(["H","e","l","l","o"]) print(s2) print(list(s..
1. keys() : 해당 딕셔너리의 Key 리스트 만들기 tDic = {'key1': '값1', 2: 2, 'key3': [3], 'key4': '값4', 'key5': '값5', 13 : [1,3]} 예) tDic.keys() keys() 함수 결과 2. values() : 해당 딕셔너리의 값으로 리스트 만들기 values() 함수 결과 3. items() : key 와 value 를 묶은 튜플 값을 dict_items 로 반환한다. items() 함수 결과 4. clear() 함수 빈 딕셔너리를 반환한다. ===> {} 5. get() 함수 해당하는 key 의 값을 반환하는 함수로 두가지 특징이 있다. (1) 딕셔너리 자료형의 변수명 [] 안에 키값을 사용 값을 가져오는 방법은 get() 함수를 사..
한동안 챗GPT(ChatGPT)에 대한 기사가 많이 나왔다. 나는 가지고 있는 게 없지만 덕분에 AI관련 주식도 많이 올랐다고 한다. 운 좋게 덕을 본 사람도 있을 것이고 일찌감치 그것을 알아본 혜안을 가진 사람도 있을 것이다. 여하튼 나는 아침에 이것저것 검색을 하다 문득 GPT를 활용하여 블로그를 작성해 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우선 ChatGPT에 처음으로 들어가서 보았다. 가입이 필요했다. 가입에 대한 사항은 아래 포스팅을 참조하기 바랍니다. ChatGPT(챗GPT) 가입 및 사용법 ChatGPT(챗GPT) 가입 및 사용법 얼마 전 ChatGPT 가 굉장히 화제였다. 누군가 나에게 말하기를 앞으로 필요한 인재는 질문을 잘할 수 있어야 한다. Why형 사고를 가져야 한다고 고했다. ..
얼마 전 ChatGPT 가 굉장히 화제였다. 누군가 나에게 말하기를 앞으로 필요한 인재는 질문을 잘할 수 있어야 한다. Why형 사고를 가져야 한다고 고했다. Why형 사고 라는 말이 있는지는 나는 잘 모르겠지만, 그 말의 요지는 앞으로 AI가 많은 질문에 답을 줄 것인데 그때는 내가 얼마나 지식을 가졌느냐 보다도 질문을 얼마나 잘하느냐가 더 중요하다는 것이 이유였다. ( 그런데 내가 생각하기에는 지식이 풍부한 사람이 더 질문을 잘할 것 같다. 아니 지식이 질문하는데 도움은 될 것 같다. 그래도 동일한 지식수준이라도 얼마나 더 질문을 잘하느냐의 차이는 있을 것이고 지식이 많아도 질문을 못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고 지식이 없어도 질문을 엄청 잘하는 사람도 있겠지... 어느 영역에서나 극단은 존재한다. ) 오..
아주 특별하지는 않지만 블로그를 꾸준히 작성하는 방법 몇 가지 정리합니다. 먼저, 이 글은 저보다 오래 그리고 꾸준히 작성하셨거나 자신만의 노하우를 가지고 있거나 자신만의 블로그 운영 철학이 있으신 분이 보시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블로그를 너무나 잘 운영하는 분들은 아주 많습니다. ) 단지, 이제 막 블로그를 시작하려고 하는데 1일 1 포스팅을 하고자 하는 분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블로그를 쓰는 목적은 사람마다 참 다양합니다. 사실, 자신만의 목적에 맞게 운영하면 그만입니다. 1. 자신의 소소한 일상을 남기기 위해서 2. 생각을 정리하기 위해서 블로그를 사용하기도 하고 3. 학습한 것을 정리하고 공유하기 위해서 이용하기도 합니다. 4. 또...제품이나 음식을 리뷰하고 협찬을 받거나 마케팅 수..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