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집에서 먹은 머스크 멜론 씨앗을 심으면 어떻게 될까? (with 방울토마토)
1. 어린이집에서 체험한 토마토 씨앗심기.
저희 아이가 코로나 19 2.5단계 때에도 사정상 긴급 보육을 통해 어린이집을 계속 다녔습니다.
친구들이 많이 안 와서 많이 심심해하는데 얼른 코로나가 종식되기를 바랍니다.
코로나 사태 전 어린이집에서는 야외 활동을 꾸준히 했다고 하는데요. 실내에서도 야외 활동을 대신 체험들을 하고 있습니다.
그중에 하나가 씨앗 심기였죠.
지난 4월 중 아이가 어린이집에서 심은 방울토마토 씨앗이 이렇게 자랐습니다.
가져왔을 때는 이름표만 있었는데요. 제법 늠름 하게 자랐네요. ^^
![](https://blog.kakaocdn.net/dn/kyVvl/btqJlr1x2lM/0J1lxHC0zUy8z5DvQ8kqF0/img.jpg)
토마토는 쌍떡잎식물인데 통화식물목 가지과 한해살이풀이라고 하는군요.
원산지는 남아메리카이고요.
통화 식물... 한자가 참 어려운데요. 통화란 한자로 대롱 통(筒), 꽃화(花) ...
즉, 통화식물이란 대롱같이 생긴 꽃을 가지고 있는 식물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그냥 대롱꽃 식물이라고 하면 더 좋을 것 같은데 아쉽군요.
남아메리카가 서부 해안지역에서 자생하던 토마토를 스페인이 침공 후 유럽으로 가져와 관상용으로 재배되었으며 식용으로 사용되지는 않았고, 종교적 이유 등으로 기피되다가 1700년대에 이르러서야 식용으로 활용되기 시작했다.
특히 이탈리아에서는 토마토를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으며, 스페인에서 매년 개최되는 토마토 축제는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 출처 : 대한민국 식재 총람 )
2. 집에서 먹은 머스크멜론의 씨앗심기.
할머니 댁에 갈 때 머스크멜론 하나를 사 갔거든요.
후숙이 덜됐는지 달콤하지는 않았습니다.
맛없다며 인상을 쓰며 한 조각을 먹던 아이가 문득 생각이 났는지 씨앗을 휴지에 고이 모으더군요.
집에 오자마자 화분에 심겠다고 난리였습니다.
같이 심긴 심었지만... 과연? 싹이 나올까?
싹이 안 나오면 실망하지 않을까? 반신반의했는데... 웬걸요? ㅎㅎㅎ
멋지게 싹이 나왔습니다.
씨를 심은지 열흘이 지난 멜론 새싹의 모습입니다.
멜론의 원산지는 아프리카의 사하라 사막 남부, 아프가니스탄에 이르는 중동 지역인데,
분류는 박과입니다. 떡잎이 두 개씩 있는 것 보니 쌍떡잎식물인가 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12HgI/btqJd9ukwsE/zE2Z9i2J5yZUkAJwg74A7k/img.jpg)
주요 생산지는 중국, 프랑스, 인도, 스페인, 터키, 미국 등인데 주로 따뜻한 지역에서 재배하고 있죠.
우리나라는 경남 산청, 전남 곡성, 나주, 담양은 물론 북쪽의 강원도 양구, 화천에서까지 재배하고 있다고 하네요.~
멜론은 쌍떡잎식물 박목 박과의 한해살이풀입니다.
멜론은 단맛과 특유의 향기를 특징으로 한다. 수분을 제외한 대부분의 성분이 탄수화물, 그중에서도 가용성 당 성분이며, 수확하여 후숙을 시키면 감미로운 향기가 난다. 대체적으로 녹색이나 황록색의 과육에는 비타민 C의 함량이 많고, 적색의 과육에는 카로틴이 많아서 비타민 A의 함량이 높다. ( 출처 : 대한민국 식재 총람 )
한해살이 풀은 일 년 이내에 씨를 뿌려 성장하고 시들어 죽는 풀이라고 하니 둘 다 1년 동안 잘 키워 봐야겠군요.
과연 집 베란다에 키워서 열매를 맺을 수 있을까요? ^^
![](https://blog.kakaocdn.net/dn/biy3wk/btqJnB3Vyfy/G0b26XX2eKfCzv2ZPKmsf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Wwkql/btqJph4Mq4h/m1HDdgViWDNYowNg2r3ij0/img.jpg)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감사합니다.